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방법? 이 글로 끝내세요.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월세를 납부하는 사람이 세금을 돌려받기 위해 신청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연말정산 때 월세세액공제를 받지 못했거나 누락을 했다면 신청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를 받기 위한 조건, 기간, 방법 등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혹 월세세액공제 자체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칼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월세 세액공제, 자주 묻는 질문 TOP 5(클릭)


읽고 오셨나요?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글의 목차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기간, 한 눈에 정리해드립니다.


경정청구 기간5월 종합소득세 신고가 지난 날부터 5년 이내입니다.


즉 2023년 연말정산에서 누락된 부분이 있어 경정청구를 진행하고자 한다면?

2024년 6월부터 2029년 5월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기간별로 표로 한 눈에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월세 납부 연도경정청구 가능기간
2017년2018년 6월 ~ 2023년 5월
2018년2019년 6월 ~ 2024년 5월
2019년2020년 6월 ~ 2025년 5월
2020년2021년 6월 ~ 2026년 5월
2021년2022년 6월 ~ 2027년 5월
2022년2023년 6월 ~ 2028년 5월
2023년2024년 6월 ~ 2029년 5월



혹 경정청구가 처리되는 기간도 궁금하신 분도 계실텐데요.

처리기간은 2달 이내로 반드시 완료가 됩니다.





월세세액공제, 이 4가지 조건 모르면 못 받습니다.


1. 1년 간 총 급여가 7000만 원 이하의 근로자여야 합니다.


2023년부터 월세액공제율이 상향되었는데요.


총 급여액이 5500만 원 이하는 12%에서 17로, ‘5500만 원 초과 ~ 7000만 원 이하’는 10%에서 15%로 올랐습니다.

다만 월세액공제 최대 한도는 연간 750만 원으로 같습니다.


이를 한 눈에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총 급여액월세액공제율
5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4500만 원 이하)
17%
5500만 원 초과 ~ 7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45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
15%




2. 월세계약서와 월세입금 영수증을 소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월세계약서에는 주소, 전용면적, 계약기간, 보증금, 월세 등이 적혀있어야 합니다.

월세입금 영수증에는 입금일자, 입금액, 입금자명 등이 기입되어야 합니다.


3. 전입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월세계약서와 주빈등록등본에 표시되어있는 주소지가 동일해야 합니다.

또한 전용면적은 85m2 이하여야 하며, 고시원, 주거용 오피스텔, 공공임대주택 모두 포함됩니다.


4. 종합소득세 신고가 끝난 뒤 5년 이내에 경정청구를 신청해야 합니다.


위에서 알려드린대로 5년 이내로 경정청구를 신청해야 하며, 만약 기간이 지나면 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니 꼭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기간과 조건을 말씀드렸습니다.

그럼 이제, 바로 경정청구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방법, 5분만에 끝내세요.



1. 홈택스 경정청구 방법


① ‘홈택스 >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순으로 클릭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홈택스


로그인을 할 때는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해줍니다.



② ‘근로소득 > 경청청구’ 순으로 선택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근로소득 신고



③ 귀속년도를 조회하신 후 다음 이동 버튼을 클릭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귀속년도



④ 기존에 정산했던 내역들을 한 번 체크하고 다음 이동 버튼을 눌러줍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조회



⑤ 기본정보를 입력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기본정보


주민등록번호를 조회해준 뒤, 세대주 여부와 휴대번호 입력 등을 완료합니다.



⑥ ‘근로소득신고서 수정입력’ 화면이 나오면, ‘세액공제 – 71번 월세액 세액공제’를 바로 확인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계산기



계산기 버튼을 눌러주면 팝업이 뜨게 되는데요.

월세금액을 입력해주고, 계산하기와 적용하기 버튼을 차례로 누르면 됩니다.



‘납부(환급) 세액 – 75번 차감납부할 세액’을 확인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차감납부세액


금액 앞에 마이너스가 붙어있다면, 그 금액만큼 환급해준다는 것을 뜻합니다.

환급 받을 금융 기관을 선택하신 뒤, 계좌번호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신고서 작성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⑧ 경청청구 신고서 화면이 나오면, 경정청구 이유에 ‘월세공제누락’이라고 기입하시면 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이유



⑨ 신고서 작성을 끝내고, 최종 제출합니다.




2. 증빙서류까지 제출하는 방법


신고가 끝났다면 증빙할 서류도 함께 제출해야 되는데요.

증빙으로 제출할 서류는 조건 4가지 파트에서 말씀드렸듯이, 다음 3가지입니다.


  • 주민등록등본
  • 월세계약서
  • 월세입금 영수증



① 신고내역 조회(접수증/납부서)를 클릭한 뒤 조회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신고내역 조회



② 부속서류 제출여부에 N을 클릭한 뒤,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제출여부



③ ‘부속서류 첨부하기’ 버튼을 클릭한 뒤, 월세세액공제 증빙서류를 첨부하면 끝이 납니다.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첨부하기





지금까지 월세세액공제 경정청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 글을 보는 분 모두 경정청구가 잘 진행되어, 환급 받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이만 글 마치겠습니다.

세금덕후였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연말정산 경정청구 방법? 기간, 주의사항까지 완벽정리(클릭)


Leave a Comment